메뉴보기 search

(*.247.68.37) 조회 수 9985 추천 수 34 댓글 0
||0||0


“가장 강한 군이기에 선택”

해병대 표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다. 1987년부터 해병대 정신표어로 사용되고 있는데 해병 현역·예비역은
물론 일반 국민들에까지 널리 알려져 있다. 여기엔 ‘불가능은 없다’는 해병대 정신에 대한 특별한 자부심이 배어 있다.
            이와 비슷하면서도 정서적으로 훨씬 더 자극적인 것이 바로 ‘누구나 해병이 될 수 있다면 나는 결코 해병대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표어다. 육체적·정신적 한계에 도전하는 강인한 훈련에 대한 자부심과 타군과의 배타성을 강조하는 이 표어는 해병대를 지원하는 수많은 젊은이의
가슴을 설레게 한다.

이처럼 그간 강인한 사내들의 세계로 인식돼 온 해병대에 최근 그야말로 혁명적인 변화가 일고 있다. 금녀의 영역이던 각군 사관학교에 여자
생도들이 입학한 것을 계기로 해병대에도 여성 장교가 탄생한 것이다.지난해 해군은 20명의 여성장교를 배출했다. 일반 대학 학사 이상 출신인 이들은 필기시험을 거쳐 지난해 3월 해군사관후보생 96차로
입교했다. 남자들과 함께 14주간의 훈련을 마치고 7월1일 소위로 임관했다. 20명 중 해병간부후보생은 7명. 해간(해병 간부) 기수로는
87기다. 7명 중 4명은 보병에, 나머지는 헌병, 통신, 보급 병과에 각각 1명씩 배치됐다.이 중 1사단에 근무하는 조윤정 소위를 만나봤다. 헌병 병과인 조소위는 교통 소대장을 맡고 있다. 사단 영문 보초를 서는 헌병들이 그녀의
부하다. 올해 27세. 모자를 벗은 그녀의 모습은 얼른 보아 여느 여성과 다르지 않다. 홍조 띤 얼굴과 짙은 쌍꺼풀이 인상적이다. 그러나 외모로
해병대 여성장교를 판단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지 깨닫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조소위는 해병대 입대 동기에 대해 서슴없이 이렇게 말했다.

“육군은 너무 많이 뽑아 싫었다. 기왕이면 소수정예군에 들어가고 싶었다. 해병대를 택한 이유는 딱 하나다. 가장 강한 군대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해병이 될 수 있다면 나는 결코 해병대를 선택하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표어가 맘에 들었다.”조소위와 같은 기간에 같은 곳에서 훈련을 받고 임관한 남성해병장교는 170명이다. 어떻게 배겨냈을까, 하는 의문은 그녀의 명쾌하고도 단호한
답변 앞에 맥없이 풀려버렸다.“육체적 고통은 참을 만했다. 그 순간만 지나면 되기 때문이다. 정작 힘든 것은 정신적 고통이었다. 식사시간에 노래를 틀어줄 때는 맘이
흐트러지기도 했다. 여자라고 훈련에서 봐주는 경우는 없었다. 오히려 체력이 우리보다 못한 남자들도 있었다. 구보에서도 절대 안 뒤졌다.
악기(氣)로 버텼다.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였다.”

조소위는 장교 임관 후 후반기교육을 육군에 가서 받았다. 그때 육군 관계자들로부터 “눈이 반짝반짝하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그러고보니
조소위의 눈빛이 평범하지 않다. 혹독한 훈련을 이겨낸 자들에게서 엿볼 수 있는 강렬한 눈빛이다.

남자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느냐고 묻자 이런 얘기를 들려줬다.
            “여자들은 괜찮은데 남자들이 오히려 더 불편한 듯싶다. 사단에 온 지 얼마 안돼 체력측정훈련을 할 때였다. 윗몸 일으키기를 하면 몸이
옆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다른 사람이 양팔로 무릎을 꽉 감싸안아야 한다. 그런데 사병들이 남자 장교의 무릎은 잘 잡아주면서도 내가 할 때는
쑥스러워서인지 겨우 발목만 잡았다.”

장기근무를 원한다는 조소위는 해병훈련을 받은 후 자신이 강해졌다는 것을 실감했다고 한다. 남한테 의지하는 태도가 사라지고 바깥사회에 나가
뭘 해도 먹고 살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는 것이다.60㎜박격포 소대에 근무하는 임종원(24) 하사도 1사단이 내세우는 화제의 인물. 임하사는 얼마 전 병역기피소동을 일으켜 지탄을 받은 가수
유승준씨와 비교되는 경력을 갖고 있다. 미국 영주권자로, 마음먹기에 따라서는 군에 가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해병대에 자원입대했다. 미국에 7년
동안 거주했다는 그는 워싱턴주립대 3학년 재학중 병역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귀국했다. 현재 연세대에 편입학한 상태. 그가 해병대를 선택한 이유는
조소위와 비슷하다. “가장 세다고 해서”다.

“한국에서 남자 구실 하려면 군에 갔다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남자는 무조건 군대를 가야 한다는 집안 분위기도 영향을 끼쳤다. 외조부는
직업군인으로 20년 동안 복무했고 아버지는 나처럼 해병대를 지원했으나 평발이 문제가 돼 뜻을 이루지 못했다.”2000년 7월 입대한 임하사는 훈련소 시절 훈련관들의 명령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해 고생 꽤나 했다. 미국에서 오랫동안 영어만 사용하다보니
국어에 어두워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말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고 부대생활에도 잘 적응하고 있다.소규모의 특수부대로 출발한 해병대는 창설된 지 1년 만에 발생한 한국전에서 전사에 길이 빛나는 공을 세웠다. ‘귀신 잡는 해병대’니
‘무적해병’이니 하는 애칭은 모두 한국전 당시에 얻은 것이다.

최초의 승전은 진동리전투. 1950년 8월 미 25사단과 그 배속부대들은 개전 이래 최초의 반격작전을 개시했는데 목표는 진주 탈환이었다.
경남 마산 진동리 부근의 수리봉 서북산 등 주요 고지를 둘러싸고 벌어진 이 전투에서 해병대 김성은 부대 장병들은 눈부신 전과를 올림으로써
해병시대의 개막을 알렸다.통영지구작전도 전사의 한 페이지를 기록하고 있다. 낙동강 전선에서 국군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힌 인민군은 기수를 남해안으로 돌렸다. 거제도를
점령한 인민군 7사단은 전략적 요충지인 진해·마산항을 봉쇄할 목적으로 통영 방면으로 공격해왔다.
            이에 해병대는 한국군 최초의 상륙작전을 감행함으로써 적을 격퇴하고 통영 지구를 방어했다. 진동리전투와 통영 상륙작전에서의 잇따른 전과로
해병대는 전군 최초로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영예를 안았다. 한편 미국 뉴욕타임스의 여기자 마거랏 히킨즈는 이 작전의 성공을 보도하는 기사에서
‘귀신 잡는 해병대’라는 찬사를 썼다. 이것은 뒷날 한국 해병대의 대표적인 애칭으로 자리잡았다.


 

해병전사에서 가장 빛나는 순간은 아마도 1950년 9월에 전개된 인천상륙작전일 것이다. 낙동강전선의 교착상태가 계속되자 맥아더 사령관은
수도 서울을 탈환하고 반격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인천상륙작전을 계획한다. 주력부대는 미 해병대 1사단. 여기에 한국 해병대가 가세했다. 서울을
탈환한 해병대 용사들은 중앙청 옥상에 태극기를 올리는 영예를 누렸다. 세계전사에서도 꼽히는 인천상륙작전 참가는 한국 해병대에 상당한 자부심을
안겨줬다.


 




신화를 남긴 해병대

1951년 6월에 벌어진 도솔산지구전투도 기억할 만하다. 1차 전투의 주인공은 미 해병대 5연대였다. 미 해병대는 인민군이 차지하고 있는
도솔산 지구의 고지들을 공격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물러났다. 미군 대신 나선 한국 해병대 1연대는 17일간의 끈질긴 공격 끝에 적을 격멸하고
24개 고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이를 치하하기 위해 국방부장관 및 미 8군사령관을 대동하고 해병대 1연대를 방문해 표창장과 감사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무적해병’이라는 휘호를 전달했는데, 그후 ‘무적해병’은 해병대의 용맹성을 상징하는 구호로 널리 사용하게 됐다.김일성고지전투는 해병대의 임전무퇴 정신을 국내외에 과시한 전투다. 도솔산전투에서 ‘무적해병’의 용맹을 떨친 해병대는 중동부전선으로 재출동해
만대리분지(일명 펀치볼) 북단 능선 일대 고지군을 점령하고 있는 인민군과 대치했다. 약 1600명의 인민군 1사단 3연대는 이중삼중의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고 지뢰를 매설하는 등 완강히 저항했다.당시 아군의 병력은 훨씬 열세였다. 이에 해병대 지휘부는 924고지를 김일성고지로, 1026고지를 모택동고지로 이름 붙여 장병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 밀고 밀리는 4일간의 치열한 공방 끝에 이 난공불락의 요새는 결국 해병대의 손에 떨어졌다.

양도전투는 작전의 승리였다. 양도는 함경북도 명천군 상가면 앞바다에 있는 3개의 섬(길주양도, 명천양도, 강후의도)을 일컫는다. 섬과 육지
사이의 거리는 4㎞가 채 안된다. 인민군은 처음엔 양도 대안(섬 건너편 해안)에 1개 중대를 배치했다가 이후 총사령부 직속의 63보병연대를
배치함으로써 병력을 강화했다. 1952년 2월20일 해병대 독립43중대는 인민군의 맹렬한 포격을 무릅쓰고 공격을 시작했다. 열세한 전투력이었지만 매복과 기습작전을 펼쳐
적 주력을 유인해 하루 만에 격멸하는 전과를 올렸다. 당시 일부 인민군은 범선을 이용해 도주했는데 이 역시 해병대에 의해 해상에서 괴멸됐다.

   (끝)







src="http://www.donga.com/docs/magazine/shin/2002shin_donga/img/body_icon6.gif" align=absMiddle> 조성식
<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 mairso2@donga.com
src="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2new_donga/img/body_icon6.gif"
width=7 align=absMiddle> 발행일: 2002 년 04 월 01 일 (통권 511 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536 1000期 맞는 대한민국 해병 그들만의 세계 # 01 2005.10.07 임영식 11655
535 1000期 맞는 대한민국 해병 그들만의 세계 # 02 2005.10.07 임영식 13120
534 해병제1상륙사단 # 01 - 신동아 부대탐방 2005.10.09 관리자 10027
» 해병제1상륙사단 # 02 - 신동아 부대탐방 2005.10.09 관리자 9985
532 [경향-사회]특명! 군대 ‘허리’를 강화하라 2005.10.18 관리자 9184
531 해병대 연평부대 사진 몇장 file 2005.10.31 임영식 8598
530 해병북파공작대 `MIU부대` file 2005.11.05 관리자 11991
529 32대대 상륙기습훈련 실시 file 2005.11.13 임영식 6576
528 사랑 실천하는 해병대 장병 눈길 - 임종수소대장이야기 file 2005.11.13 임영식 8156
527 해병대 부녀 사상 첫 한부대 근무 file 2005.12.02 세계일보 7693
526 1인시위 고엽제 환자 국회앞에서 자살 2005.12.02 조선일보 8467
525 KAAV[상륙돌격장갑차]에 미클릭 장착 기동성 높여 file 2005.12.10 임영식 6278
524 상륙작전 성공 “우리가 보장” file 2005.12.10 임영식 6313
523 “기본에 충실한 업무환경 조성” file 2005.12.10 임영식 6863
522 헌혈로 쌓인 우정이 쌍둥이 살렸다 2005.12.15 한겨례 6650
521 해병대지원방법 변경안내 2005.12.15 관리자 6477
520 부사관 296기, 훈련 마치고 하사 임관 1 file 2005.12.20 주간한국 6354
519 이명박시장 해병대 정주영을 만나다. file 2005.12.29 관리자 8020
518 믿지못할 ‘짝퉁 해병대 캠프’ 3 2006.01.09 관리자 5989
517 해병대 겨울캠프…영하 추위 향해 ‘돌격’ file 2006.01.12 관리자 63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