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search

(*.32.142.224) 조회 수 7435 추천 수 2 댓글 0
||0||0

불가능은 없다.
귀신 잡는 사나이.
우리는 이들을 해병대라 부른다. 

그들의 처음 그 순간. 진짜 사나이 해병대가 되기 위한 첫 걸음 해병대 교육훈련 24시가 시작된다. 조용하던 동네가 시끄러워졌다. 입영 날이면 늘 보는 풍경. 떨릴 만도 하다. 

오늘은 귀신 잡는 해병대 신병 입소식이기 때문이다. “2년 동안 잘 다녀오겠습니다” 인사를 올린다. 

그 힘들다는 해병대. 잘 견딜 수 있을까? 연병장은 어느새 눈물바다가 되었다. 걱정 마시라는 듯 씩씩하게 걸어 들어오는 신병들. 그런데 이때. “빨리 뛰어라. 빨리 뛰어라! 동작 그만!” 동작 그만. 

이 말은 곧 편한 길이 끝났다는 얘기. 드디어 시작이다. 정신 바짝 차리라는데 줄 맞추는 것만 벌써 30분 째. 신병들 갈 길이 멀다. 

입소 후 첫 신고식이 시작되었다. 이제 머리카락과 함께 그동안의 나도 버려야 한다. 

내일부터는 해병대원으로 다시 태어나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음 날 새벽이 밝았다. 누구보다 빠르게, 누구보다 강하게, 귀신 잡는 사나이 해병이 되기 위해 6주간의 훈련이 드디어 시작되었다. 

실탄 사격 훈련 시작일 뿐이다. 6주간의 훈련동안 병사들은 전투의 모든 것을 배우게 된다. 

몇 주 전만해도 세상은 아름다웠다. 하지만 지금 여기는 연막탄 연기에 눈도 뜨기 힘든 상황이다. 

태극기 휘날리는 영화 속 주인공이라면 멋지게 폼이라도 잡을텐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훈련이 끝나면 몸은 물론 정신도 무장된다. 격투봉이라 불리는 봉으로 상대방을 밀어내는 경기. 대원들에게 가장 인기가 있는 훈련이다. “피할 수 없으면 즐기자” 외쳐는 보지만 말처럼 즐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100kg이 넘는 목봉 훈련을 받다보면 어느새 사나이 두 눈에 눈물까지 고인다. 예전 같으면 절대 참을 수 없던 고통도 이제는 어떻게든 견뎌내야 한다. 그렇게 6주간의 지옥훈련. 하루가 저물어 간다. 

해병대 교육훈련단 극기주가 시작된다. 지옥훈련의 정점. 수많은 선배해병들이 눈물의 지옥주라고 불렀던 바로 그 훈련이다. 

전시에 상륙작전을 펼쳐야 하는 해병대. IBS 상륙용 고무보트 훈련은 진짜 해병이 되기 위한 핵심훈련이다. 훈련은 늘 선착순으로 진행. 제일 늦게 들어오는 팀이 기합을 받아야한다. 

꼴찌팀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이 것. 추위와 싸우며 고통과 싸우는 이들은 세상과 싸워 낼 힘을 얻는다. 

훈련을 끝내고 도착한 곳은 바로 목욕탕. 겨울바다 칼바람에 혹한의 추위보다 더 매서운 훈련에 꽁꽁 얼어버린 몸들. 겨우 한 숨 돌리게 됐다. 벌써 목욕 끝. 몸에 비누칠도 못 씻은 이 훈련병. 오늘도 한 소리 듣게 생겼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간을 엄수해야한다. 이것도 해병 훈련의 일부다.

 밤 9시. 훈련병들이 바빠졌다. 매일 밤 순검이라 불리는 내무반 점검을 받아야하기 때문이다. 

각으로 시작해 각으로 끝나는 해병대  답게 모포 하나에도 각 제대로 살아있다. 한쪽에서는 수건 줄 세우기가 한창인데... 드디어 순검 시작. 서슬퍼런 소대장님. 사소한 문제하나 놓치지 않으신다. 

결국 내무반 전체에 기합. 훈련단 생활 6주동안 가장 많이 떠올리는 것은 어머니. 훈련을 받으며 이들은 그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는 귀중한 것들을 마음 속에 얻어간다. 단잠에 빠져있을 새벽 비상벨이 울리기 시작했다. 극기주 비상훈련이 시작된 것이었다. 졸음과의 사투를 벌이며 다시 완전 무장. 연병장으로 집합하는 훈련병들. 극기주에는 잠을 줄이고 혹한의 추위와 싸움으로써 극한의 상황을 버티는 인내력과 체력을 길러야한다. 

 

한겨울, 그리고 새벽. 외투를 겹겹이 껴입어도 추운 날씨다. 살을 에는 추위를 날려버리며 야간 목봉 훈련은 시작되었다. 악을 쓰고 이를 악물고 때로는 눈물까지 흘려가면서 이들은 자신과의 싸움을 이겨내는 법을 배우고 있다. 고된 훈련을 버틸 수 있게 하는 가장 큰 힘이 무엇인지도 여기 와서 배웠다. 어느새 철없던 젊은이들이 진짜 사나이가 다 되었다. 드디어 6주간의 훈련 마지막 관문이 시작됐다. 선배 해병대원들이 거쳐 갔던 행군. 완전무장을 하고 10시간동안 20km의 산행을 완주해야 한다. 

이 천자봉 정상을 오르고 나면 해병대의 상징 빨간명찰을 받게 된다. 그렇게 결국 천자봉 정상에 도착했다. 빨간명찰과 함께 드디어 해병대원이라는 이름도 얻게 되었다. 드디어 6주 훈련의 마지막 수료식이 시작되었다. 42일의 극한훈련을 견뎌내고 드디어 가슴에 빨간명찰을 달은 훈련병들. 이제 대한민국 해병대 진짜 사나이가 된 것이다. 6주동안 땀과 눈물을 함께했던 동기들과의 이별. 가슴이 뜨거운 만큼 동기애도 뜨겁다. 이제 실무배치를 받은 자대로 이동한다. 이로써 6주간의 훈련 대단원의 막이 내렸다. 이제 지옥훈련의 한 고비를 넘겼다. 하지만 끝이 아니다. 진짜 사나이가 되기 위한 진정한 싸움은 지금부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글쓴이 조회 수
436 언제 어디든 임무100% 수행 - 2사단 12대대 file 2006.09.26 임영식 6035
435 대한민국 해병대 소개 동영상 2009.06.03 관리자 6037
434 1사단 전차대대 file 2006.04.10 관리자 6065
433 해병대2사단- 연대급 상륙작전 능력 배양 (연안상륙훈련) file 2007.10.30 관리자 6084
432 해병대2사단 중대전술훈련 file 2007.07.29 관리자 6086
431 해안교두보를 확보하라 file 2008.03.28 관리자 6088
430 무적해병·귀신잡는 해병’ 산증인 신현준 초대사령관 file 2007.10.17 임영식 6092
429 호국상륙훈련 file 2009.07.22 임영식 6108
428 상륙작전 성공 “우리가 보장” file 2005.12.10 임영식 6126
427 2006년도 해병대전우회 이렇게 달라진다 2006.01.31 임영식 6133
426 기습특공대대 제주도 전지훈련 file 2007.12.07 임영식 6133
425 해병대2사단 2916부대 산악작전 헬기 레펠 완변 소화 file 2007.10.04 관리자 6141
424 해병대 사망사고, 70년대 지어진 낡은 초소 탓 1 2008.07.23 임영식 6170
423 IBS용 보급품 슈트화 file 2008.01.05 임영식 6171
422 행군중의 휴식 file 2007.09.25 관리자 6175
421 극기훈련의 대명사 해병대 캠프 - 겨울캠프시작 1 file 2009.01.06 관리자 6182
420 살아서 돌아오라 - 해병대수색교육 65차 1부 2009.06.12 관리자 6184
419 하선망훈련 file 2007.03.12 임영식 6204
418 불가능은 없다! - 해병대 1사단 72대대 (2부) 2008.08.11 관리자 6208
417 해병대 여군 부사관, 총 27명으로 증가 2006.03.14 임영식 62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