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search

조회 수 13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인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발하자 장항·군산·이리지구에 투입되어 적의 남진을 지연시켰고 진동리지구 전투에서는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빛나는 영예를 차지하였으며 통영상륙 작전에서는‘귀신잡는 해병대’라는 영원한 애칭을 얻는 등 연전연승하였다. 특히,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격으로 낙동강 전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우리 해병대는 동년 9월 15일 한반도 전세를 완전히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에 미 제1해병사단과 같이 참가하여 북진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9월 20일부터 수도 서울 탈환작전을 감행하여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수훈을 세웠다. 인천에서 함정으로 원산·함흥지역으로 이동, 분전하던 해병대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철수하였고, 1951년 1·4후퇴 이후 국군과 유엔군이 반격전을 실시할 때 북진하던 중 적의 철옹성과 같았던 도솔산과 펀치볼 일대를 공격, 이를 탈취하여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무적해병’ 휘호를 하사받고‘신인이 경탄할 공훈’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한편, 해병대는 1951년 2월부터 동·서해안 전략도서 확보 작전을 수행하여, 휴전 뒤 서해 5개 도서를 아군의 통제 하에 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2년 3월, 중동부전선에서 서부전선으로 이동한 해병대는 장단(사천강)지구 전투를 1년 4개월 동안 수행하면서 중공군의 인해전술 공격을 격퇴하고 현 전선에서 휴전을 맞이하였다.

▶ 장항·군산·이리지구전투(1950. 7 .15. ~ 21.)

북괴군이 남침을 개시한 이후 북괴군 제6사단 제13연대는 1950년 7월 초천안을 점령하였고 서해안을 따라 남하하면서 호남지역으로 진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의 고길훈부대는 제주기지를 떠나 7월 16일 군산에 상륙한 후 장항 북쪽으로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북괴군의 진출을 지연시켰고 7월 20일까지 군산, 이리 방면에서 적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적이 순조롭게 남하하지 못하도록 저지하였다.

1449572675543.jpg
장항 군산 이리지구 전투 전적비      


▶ 진동리 지구 전투(1950. 7 .31. ~ 8. 13.)

1950년 8월 3일, 경남 진동리 서쪽 고사리에서 북괴군 제6사단 정찰대대에 기습공격을 감행하여 적 제6사단 공격의 예봉을 꺾고 침공을 저지, 창군이래 최대의 전공을 세워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영예를 얻었다. 동년 8월 7일부터 미 육군 제25사단을 주축으로 편성된 킨(Kean)특수임무부대가 방어작전시 공세활동의 일환으로 진주 방향에 대규모 역공격(1950.8.7.~ 8.12.)을 실시하는 동안, 우리 해병대는 서북산 일대의 적을 격퇴하여 진동리와 마산 간의 보급로에 대한 적 위협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낙동강 방어선을 튼튼히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

진동리지구전투.gif



▶ 통영상륙작전(1950. 8. 17. ~ 9. 22.)

낙동강 방어선에서 교착 상태에 빠진 북괴군은 거제도를 점령하여 전략요충지인 마산과 진해를 봉쇄하기 위하여 적 제7사단 예하 제51연대 1개 대대(약 370명)를 통영 방면으로 진출시켰다. 이후 약 250명의 적이 후속하여 통영 시내에는 약 600명의 적이 준동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 해병대의 김성은부대는 1950년 8월 17일 18:00에 7척의 해군 함정 지원 아래 장평리 해안에 한국군 최초의 단독 상륙작전을 감행하였다. 이 작전에서 해병대는 작전의 승패를 가름하는 망일봉 고지를 적보다 5분 먼저 점령하여 공격해 올라오는 적을 격퇴시킨 후 통영시내에 잔존하고 있던 적을 완전히 격멸하였다. 이후 원문고개를 점령하여 적의 퇴로를 차단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증원을 시도하던 적 부대를 격퇴시킴으로써 낙동강 교두보선의 서측방 위협을 제거하였다. 통영상륙작전은 당시 우군의 낙동강 교두보 방어작전 중에서 한국군 단독 상륙작전이자 유일한 공격작전이었고 당시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의 여 종군기자인 마가렛 히긴스가 본국으로 타전한 기사에서 ‘귀신도 잡을 수 있는 부대’라고 격찬하여, 여기에서 유래된‘귀신잡는 해병대’라는 표어는 오늘날까지 우리 해병대를 대표하는 표어로 국민에게 기억되고 있다.

통영상륙작전 상황도.gif



▶ 경인지구작전(1950. 9. 15. ~ 10. 7.)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에서 북괴군의 발악적인 최후 공세를 저지한 가운데 맥아더 장군은 병참선을 차단하여 남침한 적을 고립시킨 후 섬멸함으로써 조기에 전쟁을 종결한다는 계획 아래 1950년 9월 15일, 261척의 함정으로 구성된 유엔군 제7합동상륙기동부대가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를 선두로 세계 전사에 빛날 인천상륙작전을 전개하였다. 이 작전에서 제7합동상륙기동부대는 48시간 동안 항공모함 함재기 약 200대를 활용한 공중폭격과 함포사격을 실시하면서, 9월 15일 06:30에 미 제5해병연대 제3 대대가 20척의 상륙주정으로 녹색해안에 상륙, 저항하던 적을 완전히 격멸하고 월미도를 탈취·확보하였다. 동일 17:30 한·미 해병대가 400여 척의 상륙장갑차 및 상륙주정에 분승하여 적색해안과 청색해안에 상륙하여 인천을 방어하던 북괴군을 격파하고 인천 시가지와 해안두보를 탈취·확보함으로써 낙동강 전선에서 총반격작전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수도 서울을 조기에 탈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해안두보를 확보하여 인천상륙작전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미 제10군단은 9월 18일부터 서울 방향으로 진격하여 11일 동안 작전을 전개한 끝에 서울 외곽 지역과 시가지에서 저항하던 북괴군을 격멸하고 서울을 탈환하였다. 이 작전에서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는 선봉부대로 서울 서측방에서 중심부로 공격을 개시하였고, 미 육군 제7보병사단과 한국 육군 제17보병 연대는 서울 남측방과 동측방으로 우회기동하여 적의 퇴로를 차단하는 작전을 전개하였다. 한국 해병대는 9월 20일, 한강을 도하하여 수색방향으로 진격한 뒤 적의 최후방어선인 104고지와 연희고지군 일대에서 저항하던 적을 격파하여 수도 서울탈환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으며, 시가지 전투를 전개한 끝에 9월 27일 06:10,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함으로써 90일 동안 적의 점령 아래 있었던 서울을 탈환하고 9월 29일,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이 참석한 가운데 역사적인 환도식을 거행하였다. 이후 양주군 북한강 일대에서 잔적을 소탕하다가 명에 의거, 인천으로 이동하여 차후작전을 준비하였다.

▶ 북진.철수.재 반격작전(1950년 10월 ~ 1951년 6월)

1950년 10월 1일, 국군과 유엔군이 38도선을 돌파하여 한·중 국경의 혜산진까지 북진할 때, 해병대는 10월 7일부터 대대별 순차적으로 인천을 출항, 목포·묵호에 각각 1개 대대가 상륙하여 잔적을 소탕한 후 원산·함흥으로 이동하였고 2개 대대는 원산에 상륙하여 고성·원산·함흥지구 전투를 수행하였다. 10월 25일, 중공군이 불법 개입하여 공세를 취하자 원산·함흥을 철수하여 진해에 집결한 해병대는 12월 20일, 제1연대와 독립 제5대대로 개편하였다. 1951년 1월 4일, 수도 서울이 다시 적의 수중에 함락된 이후 국군과 유엔군의 재 반격작전에 우리 해병대도 참가하여 영덕·안동·홍천·화천지구 전투를 수행하였다.

한국 해병대 북진 철수 재 반격 상황도.gif

한국 해병대 북진 철수 재 반격 상황도


▶ 전략도서 확보작전(1951. 2. 14. ~ 1953. 7. 27.)

6·25전쟁 동안 해병대는 부대의 특성을 활용하여 38도선 이북 동·서해안의 전략도서 확보 작전으로 해군 활동을 보장하는데 기여하였다. 해병대는 동해안 도서 확보를 위하여 1951년 2월 2일, 독립 제42중대를 편성하여 2월 14일, 원산 앞 여도에 상륙한 후 영흥만 일대의 신도 등 7개 도서를 점령함으로써 원산항을 봉쇄하였으며 서해안 도서작전을 위하여 독립 제41중대를 편성하여 서해안의 교동도(4월 2일), 백령도(4월 23일), 진남포에 인접한 석도(5월 7일)를 차례로 점령하였다. 1951년 8월 28일, 독립 제43중대는 함경도 명천부근의 양도에 상륙하여 차기작전을 대비하던 중, 1952년 2월 20일, 적 1개 대대가 기습적으로 상륙하여 공격하였으나 이를 완전 섬멸하는 전공을 세웠다. 한편 1952년 1월 15일, 해안선 봉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해병대사령부 직할부대로 해병 도서부대를 편성하여 제7 대대를 도서인 석모도 및 초도에 주둔하게 하고, 제9대대를 백령도 및 연평도에 증강 배치하였으며 제8대대를 동해 도서인 여도 및 양도에 주둔 하게 하여 휴전 시까지 약 1개 연대 규모의 병력이 전략도서 확보작전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작전은 휴전 뒤 백령도를 비롯한 서북 5개 도서를 아군 통제하에 두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 김포 지구 전투(1951. 3. 7. ~ 1953. 7. 27.)

1950년 9월 21일, 수도 서울탈환작전에 참가한 해병대 제3대대는 김포 비행장을 공격하는 적 2개 대대를 격퇴하고 김포·강화도를 확보하였다. 1951년 1월 24일, 영덕·안동지구에 출동하여 작전을 수행하던 해병대 독립 제5대대는 2월 16일, 수도 서울 재 수복작전을 전개하기 위하여 인천에상륙, 잔적을 소탕하고 인천시를 방어(1951.2.26.~3.6.)하면서 서울 영등포 일대에 정찰대를 파견, 서울 재 수복작전에 기여하였다. 3월 7일부터 김포 지구 작전을 전개하여 잔적을 소탕하고 김포반도를 완전 장악한 뒤, 휴전시까지 한강을 사이에 두고 중공군과 대치하여 수도 서울로의 침공을 저지 하면서 한강 너머 개풍군 및 개성 부근 일대에서 정찰대를 운용하여 월암리 전투 등 50여 회의 작전을 수행하고 한강을 사수하여 수도권 방어에 기여하였다.


김포 지구 전투 상황도.gif


▶ 도솔산 지구 전투(1951. 6. 4. ~ 20.)

국군과 유엔군이 1951년 5월, 중공군의 춘계 공세를 격퇴한 직후 미 제1 해병사단 제5해병연대가 양구군 해안면의 펀치볼 남서쪽에 있는 전략 요충지 도솔산(1,148고지)을 공격하다가 적의 완강한 저항으로 피해가 속출하자 공격임무를 한국 해병대 제1연대에게 부여하였다. 6월 4일, 한국 해병대 제1연대가 공격을 개시하자 능선 상에 철조망을 비롯한 무수한 장애물을 설치하고 암석지대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수류탄과 중화기로 무장한 적이 완강히 저항하므로 주간 공격을 야간 공격으로 전환하여 결사적인 작전을 감행하였다. 그리하여 제1단계 작전(1951.6.4.~6.12.)으로 공격 목표 #1에서 목표 #16까지 점령한 뒤 캔자스선으로 진출하였고, 이어서 제2단계 작전(1951.6.13.~6.20.)을 전개하여 공격 목표 #17에서 목표 #24까지 점령하고 배저선까지 진출하였다. 한국 해병대 제1연대는 도솔산으로부터 대우산으로 연결되는 산악지역에 배치된 북괴군 제5군단 제12사단과 제32사단의 정예 부대가 난공불락이라고 호언장담하며 방어하고 있던 적의 진지에 대해 혈전 17일 동안 피와 땀으로 얼룩진 치열한 공방전과 무수한 희생 끝에 24개 목표를 점령하였던 것이다. 도솔산을 탈환하여 중동부 산악지대에서 교착 상태에 빠져있던 우군 전선에 활로를 개척함으로써 국군과 유엔군에 의한 ‘피의 능선’,‘단장의 능선’전투 등이 이어져 마침내 지대 내의 적 방어선을 무너뜨릴 수 있었다. 이 전투가 종료된 후 이승만 대통령이 직접 도솔산을 방문하여‘무적 해병대’라 칭하면서,‘무적 해병’휘호를 하사하였고, 8월 19일에는 해병대 제1연대에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하였다.

해병대 도솔산.jpg


▶ 김일성/모택동고지전투(1951.8.31. ~ 9.3.)

휴전회담이 제기된 직후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 제1연대가 양구 북쪽 해안분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형상 불리한 조건을 무릅쓰고 3주간 피의 대공방전을 감행하였다. 제1단계 작전(1951.8.21.~9.1.)에서 현재을지전망대와 가전리 일대(924고지-1,026고지-702고지-660고지)에 배치된 북괴군 제3군단 제1사단을 치열한 혈전 끝에 격퇴하고 펀치볼을 확보하였으며, 제2단계 작전(1951.9.1.~9.20.)에는 간무봉 일대의 적을 제압하여 내금강산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지형을 장악하였고, 좌측방의 한국 국군 제5사단의 가칠봉 점령을 용이하게 하였다. 한국 해병대의 김일성(924)고지 및 모택동(1026)고지 전투는 펀치볼 작전의 제1단계 작전으로서 펀치볼 북쪽 능선 일대에 천문학적 숫자의 지뢰가 매설되었으나 4일 동안 이를 뺏고 빼앗기는 혈전 끝에 이들을 탈환함으로써 펀치볼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었고, 한국 해병대의 위용을 국내외에 다시 한번 과시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은‘신인이 경탄할 공훈’이라 격찬하였다.

해병대 김일성 모택동.jpg


▶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1952. 3. 17. ~ 1953. 7. 27.)

1951년 7월부터 휴전회담이 개최됨에 따라 피아간 더 유리한 지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치열한 전초진지 쟁탈전이 계속되었다. 1952년 들어 수도 서울에 가중되는 중공군의 위협에 대비하는 군사적 보완책으로 미 제8군은 부대 재배치를 착수하였는데 이승만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미 제1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 제1연대를 가장 위협이 되는 서부전선으로 배치하였다. 이에따라 1952년 3월 17일, 중·동부전선에서 서부전선 장단지구로 투입된 한국 해병대 제1연대는 1953년 휴전 시까지 1년 4개월 동안 오늘날의 판문점에서 사천강을 따라 임진강 하구까지 11km에 달하는 주 저항선 전방의 8개 전초 진지에서 중공군 제65군 예하 2개 사단(제194·195사단)의 공격을 격퇴하였다. 1952년 10월 1일부로 전투단으로 개편된 해병대 제1전투단은 사천강을 경계선으로 중공군 2개 사단에 의해 감행된 네 차례에 걸친 대규모 공격을 격퇴하여 수도 서울의 관문인 개성-문산 축선을 지켜 수도권 방어에 결정적으로 기여하였고 군사 분계선을 아군에 유리하게 확정짓도록 하였다.

장단(사천강)지구 전투 상황도.gif



?

  1. 해병대 7대작전 ②경인지구 작전

    ▶ 경인지구 작전(1950.9.15~10.8) ▲ 인천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계획 수립과정 - 맥아더 장군의 한강전선 시찰(1950. 6.29.) “북한군의 남진을 낙동강을 연한 선에서 저지하는 동시에 절대 우위의 제공/제해권을 이용하여 북한 배후의 요충지인 인천 상륙...
    Date2021.02.23 By관리자 Views2146
    Read More
  2. 해병대 7대작전 ①통영상륙 작전

    ▶ 해병대 7대작전 선정 경위 해병대는 6.25전쟁이 막바지로 치닫던 1953년 3월, 해병대의 명예를 드높인 주요 전투를 역사에 길이 기리고자 해병대 5대 작전(통영상륙작전, 경인지구작전, 도솔산지구전투, 김일성/모택동고지전투, 양도작전)을 선정하였다. 베...
    Date2021.02.23 By관리자 Views1715
    Read More
  3. 해병대 70년사 전후정비기

    교육단 창설(1953. 2. 1.) 6·25전쟁 기간 중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절감, 독자적인 해병대의 장교, 부사관, 병을 양성하기 위하여 해병학교 및 해병훈련소를 기간으로 해병 교육단을 창설하여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식 교육훈련으로 강인한 해병을 ...
    Date2021.02.23 By관리자 Views741
    Read More
  4. 해병대역사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와 6.25전쟁 해병대는 창설된 지 불과 1년 뒤인 1950년 6월 25일, 6·25전쟁이 발발하자 장항·군산·이리지구에 투입되어 적의 남진을 지연시켰고 진동리지구 전투에서는 전 장병 1계급 특진의 빛나는 영예를 차지하였으며 통영상륙 작전에서는‘귀신잡는 ...
    Date2020.10.30 By관리자 Views1357
    Read More
  5. 해병대 역사 창설기

    해병대 창설 1949년 4월 15일 초대사령관 신현준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지리적여건과 여·순사건의 전훈에 따라 상륙작전을 수행할 부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49년 4월 15일 진해 덕산비행장에서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가 창설되었다. 이어서 ...
    Date2020.10.30 By관리자 Views16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